728x90
처음 이 개념을 접한 것은 20년도 9월쯤이다.
처음 접하고 이해를 못해서 지금까지 방치하다가
2년도 더 지난 오늘 각잡고 하는 Linked List 공부해봤는데, 실제로는 생각보다 더 단순했다.
처음 배울때는 구조체를 일절 사용하지 않고 class 두 개로 구현했는데,
열심히 구글링을 해보니깐 이 방식이 더 많았다.
일단 개념은 어느정도 알고 있었으므로
코드 보면서 따라 치며 혼자 이해하려고 노력했다.
가장 중요시했던 문제는 Insert 하는 방법이랑 Delete 하는 방법이어서
이 두 부분을 여러 블로그 돌아다니며 열심히 찾아보고
나름대로 생각하고 그림 그려가면서 구현한 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|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struct node{
int data;
node* nextNode;
};
class LinkedList{
public:
void AddFrontNode(int n){
node* temp=new node;
temp->data=n;
if(head==nullptr){
head=temp;
tail=temp;
}
else{
temp->nextNode=head;
head=temp;
}
}
void AddNode(int n){
node* temp=new node;
temp-> data=n;
if(head==nullptr){
head=temp;
tail=temp;
}
else{
tail->nextNode=temp;
tail=temp;
}
}
void InsertNode(node* prevNode, int n){
node* temp=new node;
temp->data=n;
temp->nextNode=prevNode->nextNode;
prevNode->nextNode=temp;
}
void DeleteNode(node* prevNode){
node* temp=prevNode->nextNode;
prevNode->nextNode=temp->nextNode;
delete temp;
}
private:
node* head=nullptr;
node* tail=nullptr;
};
|
cs |
temp는 포인터 변수로, 해당 값의 주소를 가리키기 때문에
주소를 이리저리 움직인다고 생각하니 조금 도움이 되었다.
연결 리스트 다음은 트리다.
'Study > Data_Stru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ST + AVL Tree (0) | 2023.05.27 |
---|---|
Priority_Queue ADT (0) | 2023.05.27 |
완전이진트리, 포화이진트리 개념 (0) | 2023.04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