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이진트리란 자식 노드의 수가 0 ~ 2개인 트리를 말한다.
이를 재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,
단일 노드이거나 해당 노드의 자식 노드가 모두 이진 트리라면 해당 노드를 이진트리라고 부른다.
완전이진트리란 이진트리를 채워나갈 때 마지막 노드가 왼쪽부터 차례대로 채워진 트리의 형태이다.
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,
internal 노드의 수는 3, external 노드의 수는 3, 높이 h는 2이다.
external 노드가 왼쪽부터 차례대로 채워졌으므로
위의 트리는 완전이진트리가 된다.
만약 왼쪽부터 채우다가 오른쪽 끝까지,
즉 external 노드의 수가 2^h개라면 이를 포화이진트리라고 부른다.
internal 노드의 수는 3, external 노드의 수는 4, 높이 h는 2이다.
external 노드가 왼쪽부터 차례대로 채우다가
오른쪽 끝까지 모두 채웠으므로
위의 트리는 포화이진트리가 된다.
'Study > Data_Stru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ST + AVL Tree (0) | 2023.05.27 |
---|---|
Priority_Queue ADT (0) | 2023.05.27 |
Linked List (0) | 2022.09.27 |